본문 바로가기
정보_이것저것

포스트 아포칼립스, 식물 전염병을 통해 찾아올 수도 있다?

by 디지털노마드방랑객 2024. 3. 12.
반응형

지난 수년 동안, 세계적 팬데믹을 겪으면서, 우리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에서 다뤄진 인류 소멸의 이야기들이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여전히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인수 감염병들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주로 동물에서 발생하는 감염병들에 대해 우려하면서, 식물 감염병이 인류를 멸종시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거의 떠올리지 않는데요. 동물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이래, 마찬가지로 식물 대상의 전염병도 동시에 많이 발생했습니다. 


과수화상병은 이 중 하나로, 주로 사과와 배 같은 과일나무에서 발생하며,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균에 의해 발병하고 나무를 신속하게 죽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병은 꽃이 시들고 줄기와 잎이 갈색으로 변하며, 나무의 크고 작은 가지에 암종병이 발생하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한국에서는 2015년 안성의 한 과수원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과수에게 매우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의심 나무를 즉시 제거하는 것 외에 확실한 대처 방법이 없습니다. 다행히도, 이 병은 특정 과일나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전체 농업에 큰 위협을 주지는 않았습니다.

 

과수화상병


그렇지만 1999년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유지 구구'라 명명된 바이러스는 예외였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밀과 보리 등의 곡물을 감염시키며, 식물이 필수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방해가 되는 줄기 흑종병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 심각한 식량 위기를 초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식물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통제할 수 없다면 어떠한 상황이 벌어질지 상상해 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식물 바이러스가 초래할 수 있는 극단적인 인류 멸망 시나리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동물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처럼, 식물 바이러스 역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는데요. 예를 들어, 아프리카 카사바 모자이크 바이러스, 바나나 타래꼭지 바이러스, 보리 황화위축 바이러스, 벼 엔도르나 바이러스, 감자 바이러스 Y, 콩 황화 모자이크 바이러스 등이 있고, 전 세계적으로 약 1500종의 농작물 바이러스가 알려져 있습니다.

 

벼 바이러스


특히 밀, 쌀, 보리와 같은 주요 식량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그 영향력이 매우 큽니다.


우간다에서 처음 발견된 유지 구구 바이러스는 이후 2001년 케냐, 2003년 에티오피아, 그리고 2007년에는 대형 사이클론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면서 예멘과 파키스탄까지 확산되었습니다. 


이 바이러스가 사라진 후에는 BBC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병의 확산이 미래의 수출에 큰 영향을 끼친다면 많은 취약한 국가들의 빈곤층이 굶주림에 직면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당시 아프리카에서 재배된 밀 대부분이 유지 구구에 취약한 품종이었기 때문에, 이 바이러스의 확산은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만일 당시 해당 바이러스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면, 아주 짧은 기간 안에 아시아의 주요 밀 생산국인 파키스탄과 인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두 국가가 세계 전체 밀 생산의 약 20%를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공포를 자아냈습니다. 


그나마 다행히도 유지구구 바이러스는 특정 식물에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었고,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했습니다. 만약 이 바이러스가 더 넓은 범위의 식물에 영향을 미쳤다면, 전 세계 식물군이 10년도 채 되지 않아 사라질 위기에 처했을 것입니다. 볏과식물을 포함한 넓은 식물군이 이 균에 노출되었다면, 이는 마치 식물계에 대한 흑사병과 같은 파급효과를 낳았을 것입니다. 식물은 국경을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금방 여러 대륙으로 확산되었겠죠.


또한, 식물은 동물에 비해 세대 교체 속도가 빨라서, 변이가 더욱 빠르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식물 전체에 빠르게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를 덮을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뿌리 접촉을 통한 감염이 주된 전파 방식일 것입니다. 하지만 식물의 빠른 세대 교체를 감안하면, 공기를 통한 전파도 곧 가능해질 것입니다. 


바이러스를 통제하는 방법은 감염된 농작물을 폐기하고 특정 지역의 토양을 뒤집는 것 정도로, 이는 매우 제한적인 효과만을 가져올 것입니다. 결국, 식물계 코로나에 대한 인류의 대응 방안은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굶주림, 기아


만약 볏과식물이 모두 위험에 처한다면, 인류의 식생활은 근본적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소와 닭과 같은 주요 단백질 공급원은 완전히 사라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들의 주식이 되는 것은 대부분 볏과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소와 닭은 감자나 기타 뿌리 식물로는 대체할 수 없습니다. 


돼지만이 감자를 사료로 활용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위기 상황에서만 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동물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인류가 의존하는 생태계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입니다. 공중을 날아다니는 새와 곤충들도 빠르게 감소하면서, 생태계는 전에 없던 새로운 형태로 재편될 것입니다.


만약 새와 곤충의 먹이망이 붕괴되면, 그 파급효과가 해양 생태계에도 미칠 것은 불가피합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소비할 수 있는 식량 자원은 뿌리식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진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식물성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초기 대응 조치로는 농경지에 동의 원소를 사용하는 방법이 유일하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은 전 세계적인 협력 없이는 불가능할 것입니다. 현 시점에서, 국제적 협력은 더욱 어려운 과제가 될 것이며, 이는 신냉전의 시대에 초기 대응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식물전염병에 직접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입니다.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찾거나, 해당 바이러스에 저항할 수 있는 식물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그 방법들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식물 품종 개발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바이러스가 식물 전체에 감염성을 띨 수 있는 변이가 나타난 이후에나 실현될 가능성이 있어, 궁극적으로는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식물이 하나도 남지 않는 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위기는 전쟁이나 전염병과 같은 다른 위협보다 직접적으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나, 그 영향은 더욱 미묘하고 치명적일 것입니다.

 

식량위기


식물의 위기가 곧바로 식량 위기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대다수 선진국이 다양한 식량을 안보 차원에서 비축하고 있고, 보존 식품들이 시장에 계속 공급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일반 대중은 위기가 오더라도 처음에는 늘 그랬듯 곧 해결될 문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몇 달이 지나지 않아서 식량 자원은 고갈될 것이며, 이는 갑작스러운 심각한 안보 위기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위기가 드러날 때, 생존에 대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게 될 것입니다. 식물성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생존에 있어서 고도의 난이도를 의미하며, 이에 따른 정치적 변동성도 상당히 클 것입니다. 인류가 예상치 못한 이유로 멸망의 길을 걷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