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부동산55 LX공사 납품했다는 닥터빌드 아이콘, 재건축 조합에 꼭 필요한 기능들 모음 정비사업은 전통적으로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분야입니다. 주택 노후도, 토지 이용 규제, 주민 동의율, 각종 인·허가 절차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수두룩하지요. 그러다 보니 주민과 추진위원회, 시공사, 공공기관 사이의 '정보 비대칭'이 끊임없이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용적률을 어느 정도 받아야 이익이 남느냐" 같은 질문에 명확히 답해 줄 시스템이 없었으니까요. 그렇지만 이용해본 결과 닥터빌드 아이콘 프로그램? TOOL? 을 이용하면 신탁사나 재개발, 재건축 추진조합, PF를 취급하는 신탁사나 금융사 등에서 건축계획과 수익성을 자동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LX 공사에도 납품했다고 하네요. 물론 개략적인 사업성 검토 단계가 지나면 실제로 구체적으로 계획을 수립하는.. 2025. 4. 24. 역대 미국 연준 의장과 그들이 추구했던 금융 정책. 앞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1913년 설립 이후 세계 금융시장의 ‘심장’으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Fed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대마다 의장의 철학, 정치‧경제적 환경, 그리고 이를 뒷받침한 통화정책 도구에 따라 달라졌다. 이번 글에서는 1950년대 이후 금융사에 굵직한 궤적을 남긴 역대 의장들의 정책 기조를 살펴보고, 과거의 궤적이 시사하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전망한다. 연준 의장의 역할과 정책 결정 메커니즘의장은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장직을 겸하며 정책 금리·유동성·자산매입 규모 등 핵심 매뉴얼을 조율한다. 하지만 의장 1인의 견해가 곧 정책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시장은 ‘의장의 한 마디’에 환호하거나 좌절한다. 이는 의장이 표준.. 2025. 4. 24. 도시정비사업 프롭테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이유 도시정비사업(재개발, 재건축 등)은 수많은 이해관계자와 복잡한 행정 절차, 그리고 예측하기 어려운 시장 변수들이 얽혀 있는 초고난도 프로젝트입니다. 최근 프롭테크(PropTech, 부동산+기술)의 부상으로 도시정비사업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이 영역에 IT 기술을 단순히 이식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도시정비사업에서 프롭테크가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시스템이 복잡해서가 아닙니다. 프롭테크의 본질과 도시정비사업의 속성이 서로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1. IT는 '정확함'이 생명이다 – 도시정비사업은 '가변성'이 본질이다 IT 기술은 본질적으로 정확함(Accuracy) 과 일관성(Consistency) 을 전제로 합니다. 시스템은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형화된 로직을 통해 예측 .. 2025. 4. 24. 트럼프가 미국 제조업 부활을 외치는 '진짜' 이유! 도널드 트럼프 현(現) 대통령은 2024년 대선 재도전 선언과 동시에 “미국 공장에 다시 불을 밝히겠다”는 구호를 앞세웠다. 미국 제조업 부활을 강하게 주장하는 것이다. 그의 목소리는 러스트 벨트 노동자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동시에, ‘제조업=국가 안보’라는 프레임을 재차 굳히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 레토릭 뒤에는 △기술 패권 수호 △에너지 수출 확대 △정치적 지형 재편이라는 세 갈래 동기가 교차한다. 이번 글에서는 그 ‘속사정’을 짚어본다. 1. AI·서비스 초강국에서 ‘제조 강박’으로“우리가 구글·마이크로소프트 같은 AI 서비스로 번 돈이 아무리 많아도, 칩과 기계를 실제로 찍어내지 못하면 중국이 내일이라도 우리의 지적 재산을 가져갈 수 있다.” – 2025년 3월, 트럼프 펜실베이니아 연설 중지난 3.. 2025. 4. 24. 이전 1 2 3 4 ··· 14 다음